HEV의 인기는 지속될까? 아우디(AUDI) 고객 수요 만족을 위한 MHEV Plus 공개

2025. 2. 28. 00:19Mobility +/Technology

반응형

RESEARCH OF AUDI MHEV PLUS SYSTEM, PHOTO FROM : AUDI

 

지금 가장 대세로 자리잡고 있는 파워트레인은 바로 하이브리드 타입입니다. 전기차에 비해 충전의 번거로움도 적지만 내연기관에 비해 압도적인 연비로 경제성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이죠. 더불어 하이브리드 차량은 조그마한 배터리를 쓰기 때문에 사람들이 사고가 났을 때에도 더욱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구매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 들어 어려운 상황에 놓인 폭스바겐-아우디 역시 이런 HEV 기술을 강화해 판매를 올리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우디의 고객 수요 만족을 위한 MHEV 기술 연구와 관련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프리미엄 플랫폼 연소(PPC)와 48V 전기시스템의 결합 

RESEARCH OF AUDI MHEV PLUS SYSTEM, PHOTO FROM : AUDI
RESEARCH OF AUDI MHEV PLUS SYSTEM, PHOTO FROM : AUDI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는 일반적으로 소형 모터 등을 활용해 작은 배터리에 충전이 가능한 구동계를 말합니다. 아우디는 프리미엄 플랫폼 연소를 기반으로 연구된 새로운 MHEV PLUS 기술을 자사의 신규 A5 및 Q5 시리즈에 적용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새로운 MHEV PLUS 시스템은 소형의 모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강력한 발전기(제너레이터) 성능을 갖춘 만큼 스타터 모터만 동작하는 기존 MHEV 대비 더 높은 효율성을 보일 수 있다는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실제로 파워트레인 발전기가 탑재됨에 따라 기존 스타터모터만을 활용한 MHEV와 달리 최대 230Nm의 토크와 최대 18kW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음을 밝혔습니다. 일반적으로 MHEV의 구동 시 전기 모터의 구동이 상대적으로 저속에서 이뤄지는 점 대비 MHEV PLUS는 최대 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140km/h의 속도까지 모터를 함께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더 고속에서까지 모터를 활용하면서 HEV와 유사한 성능을 이룩할 수 있었다 정도로 봐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연비 상승과 탄소 절약 역시 이번 새로운 MHEV PLUS의 주요 장점이라고 합니다. 해당 플랫폼을 적용함에 따라 2.0 TDI 엔진이 적용된 아우디 A5는 km당 탄소 배출량을 10g, 100km당 연로를 0.38L 덜 소모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해당 사항을 전반적으로 고려 시 MHEV PLUS는 EV 주행의 민첩함을 더하고 친환경성을 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로 내용을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고객의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한 세심한 운영 전략 구성

RESEARCH OF AUDI MHEV PLUS SYSTEM, PHOTO FROM : AUDI
RESEARCH OF AUDI MHEV PLUS SYSTEM, PHOTO FROM : AUDI

 

이번 MHEV PLUS 기술은 고객 요구사항에 주요 초점을 맞췄다고 합니다. 차량을 순수 전기로 구동할 수 있는 범위를 넓혀 연료 소모량을 최소화 했는데요. 여기에적용된 기술 중 하나가 바로 벨트 발전기 스타터(BAS)입니다. BAS는 벨트 기반으로 동직해 피니언 대비 소음을 줄일 수 있었고 더욱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배터리로는 LFP 배터리가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아우디는 브랜드 최초로 LFP를 MHEV 시스템에 적용한 사례임을 공식 보도자료에서 밝혔는데, 이런 배경으로는 LFP 배터리의 성능이 과거 대비 많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됩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운영하며 아우디는 배터리의 현재 용량이 50-60%일 때 가장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내용을 알아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모터에 많은 전기를 공급하면서도 충전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우디의 MHEV 시스템은 배터리를 빠르게 충전/방전하면서 연료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한다고 하는데요. 이를 위해 아우디는 제어기를 활용해 차량의 작동 상태 및 토크 값등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주행 안정을 최대화 하면서 에너지를 가장 낮게 소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우디의 MHEV PLUS 개발기 및 주요 성능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HEV의 선호도가 높지만 고객 별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국내와 달리 유럽에서는 PHEV에 대한 선호가 높고, 국내는 일반적인 HEV 선호가 높은 등 지역 별 수요에 맞춤형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겠습니다. 즉 아우디의 MHEV PLUS는 HEV 선호에 발맞춘 폭 넓은 맞춤형 고객 대응이 목표다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