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ity +/Technology(32)
-
HEV의 인기는 지속될까? 아우디(AUDI) 고객 수요 만족을 위한 MHEV Plus 공개
지금 가장 대세로 자리잡고 있는 파워트레인은 바로 하이브리드 타입입니다. 전기차에 비해 충전의 번거로움도 적지만 내연기관에 비해 압도적인 연비로 경제성을 챙길 수 있기 때문이죠. 더불어 하이브리드 차량은 조그마한 배터리를 쓰기 때문에 사람들이 사고가 났을 때에도 더욱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구매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 들어 어려운 상황에 놓인 폭스바겐-아우디 역시 이런 HEV 기술을 강화해 판매를 올리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우디의 고객 수요 만족을 위한 MHEV 기술 연구와 관련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리미엄 플랫폼 연소(PPC)와 48V 전기시스템의 결합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는 일반적으로 소형 모터 등을 활용해 작은 배터리에 충전이 가..
2025.02.28 -
벤츠 전기차 배터리의 개선? 메르세데스-벤츠가 연구하는 차세대 전기차의 미래는?
전기차 시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는 위태로워 보입니다. 특히 국내에서 작년 벤츠 전기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한 이후 고객들은 더 이상 내연기관과 달리 벤츠에 대한 신뢰를 잃은 것 처럼 보이기도 하죠. 현재 전기차 시장이 하강기로 들어서며, 이런 벤츠의 위기감은 다소 소강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미래 시장이 결국 친환경 차량으로 나아간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결국전기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입니다. 벤츠에서도 이런 위기를 인식하듯, 차세대 전기차를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벤츠의 미래 전기차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VISOIN EQXX : 나쁘지 않았던 벤츠의 전기차 시대의 새출발 벤츠의 전기차 미래 비전 모델 중 하나는 바로 VIS..
2025.02.24 -
트레일러까지 자율주행이 된다고?...GM Super Cruise 기반 차별화된 자율주행 경험
자율주행 기술은 이제는 자동차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술입니다. 비단 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이 아니더라도, 차선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거나(LKS: Lane Keeping System)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도와주는 기술들은(ACC : Adaptive Cruise Control) 지루하고 번거로울 수 있는 운전의 편의를 높여주니까요. 하지만 차량에 따라 자율주행의 구현 난이도가 다른 점에 대해 알고 계셨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GM이 Super Cruise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적용하여 어떻게 픽업트럭의 자율주행을 구현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율주행 기업 Cruise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갖춰온 GM(General Motors) GM은 자율주행 기술에 높은 경쟁력을 가진 기업 중 하나입니다...
2025.02.18 -
3D 프린팅을 활용한 자동차 제조 : 국내 및 해외 동향은?
자동차의 생산은 다수 부품의 조립을 통해 이뤄집니다. 모듈 단위로 부품이 조립되는 경우도 많지만, 세부 부품을 포함할 경우 전기차는 10,000 ~20,000개 내연기관은 30,000개 정도의 부품이 존재하죠. 이런 복잡성은 자동차 산업이 다수의 고용 인구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한편으로는 제조의 어려움과 복잡성을 늘리는 단점을 야기하고는 합니다. 더군다나 공장의 혼류생산 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복잡성은 갈수록 높아진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런 점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기업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적극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플라스틱 등이 층을 이뤄서 쌓인다는 뜻에서 '적층제조'라고 불리기도 하죠. 3D 프린팅 기술은 하나의 부품을 생산하는 데 다소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원하는 파츠를 직..
2025.02.16 -
DeepSeek의 차량 내 최초 적용...중국 둥펑 보야(Voyah)의 딥시크 적용 발표
25년 현재 가장 화두가 되는 이슈는 바로 AI입니다. OPENAI의 CHATGPT로 대표되는 AI 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것이 바로 중국의 DEEPSEEK였죠. DEEPSEEK가 OPENAI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했고, 외부 언론에 공개한 GPU보다 더 비싼 비용을 지불했다 하더라도 시장에 준 충격은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CHATGPT 대비 일부 부분에서는 더 나은 성능을 보인 것이 미국의 AI에 대한 의구심까지 만들 정도였으니까요. 이런 변화는 결국 중국이 자체적인 산업 구성을 재편하고 있는 신호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반도체 규제 등에 따라 각종 제약이 많이 생긴만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는 느낌입니다. 이렇게 최근 AI 시장에 큰 파동을 불러 온 DEEKSEEK가 ..
2025.02.15 -
Azure와 AVOps를 통해 모빌리티에서도 영향력을 내는 Microsoft
Azure와 AVOps를 통해 모빌리티 산업에서도 영향력을 뽐내는 Microsoft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SDV 관련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기존 계획대로였으면 오늘 Tier.2 기업 하나를 소개한이후 연재물을 마무리 지어야 하는데요. SDV라는 것이 4차산업혁명의 여느 산업이 그런것처럼 많은 산업이 얽혀 물려 있더라구요. 그래서 점점 할수록 많은 기업의 사례를 다루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다른 자동차 기술을 소개드리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향후 SDV 관련 내용은 전체 소개 글 안에 별도 링크 기반으로 한 곳에 모아 정리하려고 합니다. 어쨌든 포스팅 시작해볼게요. 현재 미국..
2024.01.30 -
스냅드래곤 플랫폼을 통해 SDV 생태계로 나아가는 퀄컴(Qualcomm)
스냅드래곤 플랫폼을 통해 SDV 생태계로 나아가는 퀄컴(Qualcomm)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SDV 관련 포스팅이 슬슬 마무리되는 느낌이 드네요. Tier.1의 대표적인 기업인 보쉬(Bosch)와 콘티넨탈(Continental)의SDV에 대한 관점을 다뤄보았는데요. 기존에 같은 자동차 산업군에 포함되어 있었던 두 기업이지만, SDV에 대한 접근법이 다르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아무래도 다루던 프로덕트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관점과 의견의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을 것 같네요. 이번 포스팅부터는 기존 자동차 업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외면받았던 Tier.2 기업이 SDV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
2024.01.30 -
자동차의 변신은 무죄? 차량 재활용 서비스의 주요 사례 정리
자동차의 변신은 무죄? 차량 재활용 서비스의 주요 사례 정리 ESG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ESG란 Eco, Social, Governance의 3가지 단어를 모아 합친 약자로, 기업의 환경적, 사회적 책임과 투명한 경영 구조를 강조한 단어입니다. 요즘은 3가지 요소 중에서도 환경이 가장 주목받는 것 같아요.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의 생존에 심각한 적색등이 켜지고, 그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기 때문일거에요. 탄소배출의 주요 원인인 자동차 역시 그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사람과 물류의 이동은 탄소 배출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줄이는 것은 친환경을 이룩할 수 있는 주요 방법 중 하나가 되었죠. 이런 관점에서 전기차(BEV), 수소차(FCEV)가 등장하기도 했지만 근본적으로 자동차를 어..
2024.01.23 -
스텔란티스그룹, 대형 세그먼트 전용 플랫폼인 STLA Large 글로벌 공개
스텔란티스그룹, 대형 세그먼트 전용 플랫폼인 STLA Large 글로벌 공개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텔란티스 그룹이 1월 19일 공개한 STLA Large 플랫폼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전에 다룬 스텔란티스 그룹의 전동화 플랫폼인 STLA와의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해 해당 글을 아래와 같이 링크를 걸어두려 합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간단히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또한 자동차 플랫폼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도 계실 것 같아, 이와 관련해 정리한 과거 포스팅 역시 함께 첨부드립니다! [스텔란티스그룹의 STLA 플랫폼 소개] 스텔란티스의 STLA 플랫폼 및 벤츠 The new CLE의 공개 스텔란티스의 STLA 플랫폼 및 벤츠 The new CLE의 공개 안녕하세요, 2023년 7월 6일 완성차 기업..
2024.01.21 -
콘티넨탈의 SDV 핵심 대응 전략과 미래 소프트웨어 비전
콘티넨탈의 SDV 핵심 대응 전략과 미래 소프트웨어 비전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지난 포스팅부터 이제 Tier 1이 SDV 시대를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시작했는데요. 자동차 부품산업에서 가장 유명한 기업 중 하나인 보쉬(Bosch)의 SDV에 대한 철학과 기초 기술에 대해 파악해 보았습니다. 일단 완성차 기업과 부품사의 입장 차이가 보이는 부분도 많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또 다른 순위권 기업인 콘티넨탈 오토모티브(Continental Automotive)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사실 벡터(Vector)를 대상 기업으로 하고 싶었는데 영상 자료는 이번 주제로 다루기에는 너무 ..
202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