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ity +/Technology(32)
-
Bosch가 바라보는 미래 SDV의 기회와 가치
Bosch가 바라보는 미래 SDV의 기회와 가치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다시 SDV 관련 글로 돌아왔습니다. 저번 포스팅까지 완성차 기업(OEM) 입장에서 바라본 SDV를 다뤄보았는데요. 현대자동차그룹과 BMW그룹 그리고 르노의 사례를 통해 SDV에 대해 접근하는 방법론과 구현 가치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부품사 측면에서 바라보는 SDV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부품사라하면 자동차에 내연기관의 경우 30,000개 전기차의 경우 10,000~20,000개의 부품이 들어가기 때문에 많은 관계사가 있을텐데요. 앞으로 있을 2~3개의 포스팅은 Tier.1 즉 완성차그..
2024.01.16 -
2024 CES에서 새롭게 공개된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방향
2024 CES에서 새롭게 공개된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방향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2024 CES에서 공개된 내용을 다루기 이전, 블로그에 (SDV:Software Defined Vehicle)에 대한 글을 쓰고 있었는데요. 2024 CES를 빌미로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전략이 바뀐 것이 굉장히 인상적이었던 것 같아요. 확실하지는 않지만 이번에 공개된 내용이 현대자동차그룹이 아닌 42dot에서 공개된 내용이기 때문에 보다 미래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 아닐까라는 추측이 듭니다. 아니면, 2년 사이에 자동차 산업이 다이나믹하게 바뀌었기 때문에 내용 역시 변화될 수밖에 없었을 것 같기도..
2024.01.13 -
SDV를 향한 르노의 접근 방식과 이를 통한 미래 목표
SDV를 향한 르노의 접근 방식과 이를 통한 미래 목표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SDV에 대한 기초 지식을 다룬 이후에 산업적인 관점에서 SDV에 대한 접근 방식을 정리해 보고 있는데요. 시작에 앞서, 지금까지 다뤘던 BMW와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차이점에 대해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보려 해요. 그 이유는 오늘 소개할 르노가 두 그룹과는 또 다른 방향성으로 SDV를 향해 나아가고 있기 때문이죠. 이 점이 다른 기업들과 두드러지는 차이점이기 때문에 별도로 따로 다루게 되었습니다. 그럼 바로 포스팅 시작해볼게요! 1. 르노의 플랫폼과 아키택처 접근 방향 현재 SDV 전환의 기로에 ..
2024.01.09 -
BMW 그룹이 제시하는 SDV 대응 전략과 미래 비전
BMW 그룹이 제시하는 SDV 대응 전략과 미래 비전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죠? 마찬가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른 OEM의 사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폭스바겐과 같이 비슷한 기업을 들 수 있지만, 아무래도 현대자동차와 다른 접근법을 활용하는 기업을 제시하는게 좋을 것 같아, BMW 그룹을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이유는 아래에서 후술하도록 할게요. 바로 전 포스팅에서 서술했듯, 이번 시리즈를 통해 통해 완성차 기업, 그리고 산업에 속해있는 Tier1과 Tier2가 SDV 시장에 대해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다양한 시각에..
2024.01.08 -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시대 대응 방안과 미래 비전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시대 대응 방안과 미래 비전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까지 SDV 관련해 총 5개의 포스팅을 진행한 것 같은데요. SDV가 중요한 이유와 미래 가치, 그리고 이를 위해 진행되어야 수반되어야 하는 기존의 프로세스 & 아키택처 등의 개선 내용을 다뤘었죠. 이를 일목요연하게 다시 요약해보면 아래와 같은 총 3가지의 갈래로 나눠볼 수 있을 것 같아요 1. SDV가 의미하는 바와 SDV로의 전환이 자동차 산업에 시사하는 점 2. SDV로의 전환이 이뤄짐에 따라 산업에서 변화해야 할 점들과 잠재적인 장애 3. SDV로 차량이 발전함에 따라 변경되어야 하는 차량 자..
2024.01.08 -
SDV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어려움과 기회요소들
SDV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어려움과 기회요소들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SDV의 핵심 특징 중 하나인 OTA에 대해 다뤄보았는데요. SDV로 나아가는 과정이 기술적인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어려운 내용을 다룰 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이런 내용만 다루다보면, 너무 글이 어려워져 현재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인 SDV의 폭 넓은 이해와는 멀어지는 느낌이 있어, 다시 산업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를 조망해보려 합니다. 포스팅 시작해볼게요. 1. SDV의 고 부가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전환이 어려운 이유 SDV는 많은 부가가치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
2024.01.07 -
SDV를 구별짓는 가장 큰 특징 OTA 업데이트에 대한 이야기
SDV를 구별짓는 가장 큰 특징 OTA 업데이트에 대한 이야기 * 본 시리즈는 연재물 형식으로 작성될 예정이며 8편 정도의 글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번 포스팅에서는 SDV로 나아가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E/E 아키택처의 형태와 이를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인 AUTOSAR Adaptive에 대해 다뤘습니다. 하지만 SDV를 결정짓는 것이 아키택처뿐만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이는 설계 및 제조 단에서의 문제일 뿐 고객이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요소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고객입장에서 SDV를 체감할 수 있는 것은 현재 차량의 혁신이라 불리는 바로 OTA 업데이트 입니다. 저번에 차량의 SDV 수준을 다룬 포스팅 에서 SDV를 구별하는 요소 중 하나로 업데이트 요소가 포함된만큼 SDV와 O..
2024.01.04 -
SDV의 뼈대가 되는 아키택처와 이를 위한 AUTOSAR의 진화
SDV의 뼈대가 되는 아키택처와 이를 위한 AUTOSAR의 진화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23년의 새해가 밝은 지금 자동차 산업 역시 또 다른 역사를 써내려가기 위해 움직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번포스팅에서는 SDV로 나아가는 과정이 어떤 단계를 거치는지, 그리고 이를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들과 SDV의 인프라 요소에 대해 간략히 다뤄보았습니다. 사실 SDV라는 것이 결국 SW를 품어줄 수 있는 차량이 선행되어야 하는만큼 그 변화를 위해 가장 빠르게 변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차량 아키택처 분야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DV의 뼈대가되는 아키택처의 진화 형태 중 하나인 조날 아키택..
2024.01.03 -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 동력: SDV 달성을 위한 필수 요소들과 평가 방법
미래 자동차 산업의 핵심 동력 : SDV 달성을 위한 필수 요소들과 평가 방법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저번 포스팅에서 SDV가 중요한 이유와 그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을 요악하면, SDV는 Software Defined vehicle의 약자로 차량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높이겠다는 의미로, 테슬라와 폭스바겐에 의해 최초로 등장한 개념이라 요약할 수 있었죠. 그리고 SDV란 자동차의 핵심이 되는 CASE의 기반 요소로서, 미래 자동차의 수익성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BOM내 R&D 비중의 확대, 하드웨어와의 시너지 고려 등의 전제 조건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지난 글에서 이런 배..
2024.01.02 -
SDV의 정의와 발단 배경, 자동차 내부 SW가 점점 더 중요해질 이유
SDV의 정의와 발단 배경, 자동차 내부 SW가 점점 더 중요해질 이유 본 포스팅은 SDV를 주제로 하는 연재물입니다. SDV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내용을 추가로 확인해주세요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새해 복 많이 받으시라는 인사부터 올립니다. 23년 자동차 시장은 격변의 시기였어요. 시장에서 굵직한 변화가 있기도 했고, 미래 모빌리티를 향해 나아가려는 각 기업의 의지도 돋보인 한 해였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약간 연재물 형식으로 주요 흐름 중 하나인 SDV: Software Defined Vehicle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SDV는 결국 MECA나 CASE와 같은 자동차의 거대한 목표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기도 하고, 현재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영역이기에 이를 세..
2024.01.01